챌린지 라이브
챌린지 > 라이브 개설하기
라이브 요약 설명
챌린지 강의 내에서 [라이브 수업]을 만들 수 있어요.
생성한 [라이브 수업]의 날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어요.
[라이브 수업] 녹화본의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
[라이브 수업]에 관련된 첨부 자료 업로드가 가능해요.
[라이브 수업]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고 유저에게 노출할 수 있어요.
라이브 만들기 절차
챌린지 생성 프로세스를 완료하면 라이브 세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챌린지 강의 생성 후, 라이브 추가
기존 [챌린지 수업 추가], [챌린지 미션 추가] 옆에 있는 [라이브 추가] 버튼을 눌러보세요!


라이브 날짜 및 시간 설정
[캘린더]와 [시간 선택] 기능을 활용하여 라이브 일정을 설정해 보세요.
라이브 일정은 챌린지 일정 내에서 선택 가능합니다.
주의: 종료 시간은 시작 시간보다 빠를 수 없어요!


라이브 영상 녹화본 제공 여부 설정
진행한 라이브 영상 녹화본은 지식공유자에게 항상 제공됩니다.
라이브 녹화본을 수강생에게도 제공할 지 여부를 선택하실 수 있어요.
녹화본 수업을 [자동 공개] 하게 되면 새로운 수업이 생성되며 녹화 영상이 업로드 됩니다.
녹화본 수업을 [비공개] 하게 되면 영상 라이브러리에만 녹화본이 저장되어 지공유자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라이브 자료 업로드 및 설명 작성
라이브에 참석하는 수강생에게 제공할 자료를 업로드하고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보세요!

✅ [챌린지 대시보드] 페이지에서 라이브 정보 확인 가능
챌린지 제출 후, 라이브 관련 정보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생성하신 라이브 관련 정보는 강의 소개 페이지와, 수강생의 강의 대시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의 소개페이지에서는 아래와 같이 보여요.

강의 대시보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보여요.


라이브 방 입장 설정
지식공유자는 오디오, 카메라 권한을 모두 허용해야 입장이 가능합니다.
배경 화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진행 및 종료 화면
지식공유자는 라이브 진행 화면에서 참여자 리스트와 수강생 오디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종료시 라이브 정보가 화면에 표기됩니다. 아래 캡처본을 참고해주세요.

다수 인원과 함께 라이브 진행시 화면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가자가 100명을 초과하면 화면에는 지식공유자만 노출됩니다. 일반 시청자의 화면은 보이지 않아요.

라이브 운영을 위한 꿀팁
듀얼 모니터 환경을 추천해요!
발표자 모드 사용 시 단일 화면에서는 슬라이드 제어가 어려울 수 있어요.
하나의 모니터에는 발표자 화면, 다른 모니터에는 채팅창/시청자 반응 띄워두면 편리해요.
라이브 운영 전 리허설을 해보세요!
실제 진행 환경에서 미리 점검하면 훨씬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음성·카메라·화면 공유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을 확인해보세요!
지식공유자는 라이브 시작 1시간 30분 전 입장 가능합니다.
수강생은 30분 전부터 입장이 가능하니, 라이브 시작 30분 전까지 리허설을 마무리해주세요!
안전한 라이브 운영을 위한 플랜B 준비
리허설 과정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라이브 진행이 원활하지 않았다면, 디스코드·Google Meet·Zoom 등 대체 링크를 미리 준비해주세요.
수강생에게는 자동메시지 기능을 활용하여, 라이브 링크 변경을 안내할 수 있습니다. (자동메시지 생성 방법 보러가기 >>)

라이브 운영시 주의해주세요!
라이브 진행 시에는 외부 장비 사용을 가급적 자제해 주세요.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 장비 사양에 따라 화면이나 소리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어요.
라이브를 만들면 무엇이 좋을까요?
챌린지에 참가 중인 수강생에게 생생한 실시간 라이브 특강을 제공할 수 있어요.
챌린지 결과물, 미션 관련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요.
라이브 참가자에게만 제공하고 싶은 특별한 노하우와 팁을 통해 챌린지의 경쟁력을 높이고, 매출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
Last updated
